su 와 su -의 차이가 궁금해서 찾다가
su 명령어에 대해 정리 해보았다.
~$ su --help # 로그인할 계정을 입력 # 아무 옵션이 없으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 # 기본은 '로그인 쉘'이 아니기 때문에 환경변수를 초기화하지 않음 ( su - 와 su가 다름) Usage: su [options] [LOGIN] Options: -c, --command COMMAND pass COMMAND to the invoked shell # 호출 된 쉘에 COMMAND를 전달하십시오. # sudo 와 같이 명령만 전달 -h, --help display this help message and exit # 도움말 -, -l, --login make the shell a login shell # 쉘을 로그인 쉘로 만든다. # `TERM', `HOME', `SHELL' `USER', `LOGNAME' 외의 환경 변수제거 # 로그인 후 현재 디렉토리도 기본 위치로 이동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 -m, -p, --preserve-environment do not reset environment variables, and keep the same shell # 환경 변수를 재설정하지 않고 동일한 쉘을 유지하십시오. # 환경변수 -> $JAVA_HOME 같은 값을 말함 -s, --shell SHELL use SHELL instead of the default in passwd # passwd의 기본값 대신 SHELL 사용 # feat. 구글번역
'Server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발서버 구축] Tomcat 실행 시 에러, JAVA_HOME 설정 (2) | 2019.07.21 |
---|---|
[개발서버 구축] root 사용자 비밀번호 세팅 (su: Authentication failure) (0) | 2019.07.20 |
[개발서버 구축] Tomcat8.5 설치 및 실행 (0) | 2019.07.16 |
사용자 변경방법 (0) | 2019.07.14 |
Ubuntu에서 Jar파일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기 (0) | 2018.07.31 |